PLC/LS2017. 11. 22. 16:35

HMI에 프로젝트 넣기

 

1) RS-232C 방법

 

 

1. 프로젝트를 작성했다는 가정하에

   XP_Builder에서 왼쪽창을 보면 "프로젝트 요약" 을 더블클릭. 혹은 상단툴바에서 "공통" -> "프로젝트 속성" 을 클릭하고 위와 같이 셋팅.

   XGB(LINK)로 설정해준다. CPU로 설정하면 안됨. "연결속성"에 시리얼포트는 설정할 필요가 없음. PLC CPU모듈에 있는 COM포트의 번호를 의미

   한다. 컴퓨터의 COM port와는 전혀 상관없음.

 

 

 

 

2. RS-232커넥터와 PC랑 연결한다. (PC에 시리얼포트가 없는경우 RS-232 컨버터를 이용해서 PC의 USB포트에 연결한다.)

   PC에서 HMI와 연결된 COM port를 확인하고 "연결설정"에서 해당 COM port 선택 전송속도는 PLC의 셋팅에서 전송속도랑 맞춰준다.

 

 

 

 

 

3. 보내기를 클릭하면 HMI화면에 로딩바가 뜨면서 프로젝트 전송이 완료된다. (엄청 오래걸림)

 

 

 

 

 

 

4. XG5000으로 가서 위와 같이 설정한다. 연결하고자하는  HMI의 통신형태와 통신속도는 동일하게 설정해준다.

   동작모드는 XGT서버 선택.

   PLC의 RS-232 TX, RX, SG 단자와 XP50의 RS-232커넥터 단자를 연결한다.

 

5. 전원을 키고 제대로 동작하는가 확인!

  

 

'PLC > 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S PLC 통신설정법(내장 Cnet을 이용한 XGT서버 통신)XG5000  (1) 2017.11.20
Posted by 기화니뿌잉
PLC/LS2017. 11. 20. 16:34

내장 Cnet, XGT-서버를 사용해서 설정하는 방법

 

사용PLC : 서버 -> XBC-DN32H

               클라이언트 -> XBC-DN32H

 

1) 서버(응답자)측 설정법 : Main Program -> 데이터를 뿌려주는 역할로 생각

 

 

1. 왼쪽 프로젝트창의 NewPLC를 더블클릭하면 아래 사진과 같은 창이 뜨게된다.

 

 

2. 나는 채널2의 RS-485 방식으로 "통신속도"는 9600 baudrate로 선택했다.

   이미지의 아래부분에 "동작모드"에는 선택한 채널의 동작방식을 선택한다.

   XGT서버를 이용한 통신을 할거니까 XGT서버를 선택한다.

 

서버측 설정은 끝!

 

2) 클라이언트(요구자)측 설정법

 

 

1. 왼쪽 프로젝트창의 NewPLC를 더블클릭하면 아래 사진과 같은 창이 뜨게된다

 

 

 

2. 서버측의 "통신형태"와 동일한 것으로 선택하고 "통신속도" 또한 서버측의 통신속도와 동일하게 맞춘다.

    국번은 서버측과 다른 번호로 설정해야 한다.

    이미지 아래부분의 "동작모드"는 클라이언트이기 때문에 "P2P 사용"을 선택한다.

 

 

3. 기본설정이 끝나면 NewPLC를 마우스 오른쪽클릭한다.

   항목추가 -> P2P통신을 선택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은 창이 뜨는데 확인을 눌러준다.

 

 

 

 

4. NewPLC 밑으로 새로운 항목들이 생기는데 P2P채널을 더블클릭 해준다.

 

 

 

 

 

5. "P2P 드라이버"에서 "XGT 클라이언트" 선택 후 확인을 누르면 위와같은 메시지창이 뜬다.

"예"를 클릭.

 

 

 

6. NewPLC 밑의 항목중 "P2P블록"을 더블클릭한다.

 

 

 

7. "NewPLC - P2P 01" 이라는 새로운 창이 뜨게된다.

   

    *채널 : PLC의 통신모듈의 어떤 채널을 사용 할 것인지 선택한다. 내장통신모듈의 채널2 RS-485를 사용하기 때문에 채널 2 선택.

             (P2P 01은 내장통신에 P2P 02는 첫번째 통신모듈에 P2P 03은 두번째 통신모듈에 고정되어 할당되어있습니다. 따라서 해당되는 슬롯번호

              를 반드시 맞추어 사용해야만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설정드라이버 : 통신프로토콜을 선택한다. XGT서버를 사용하기 때문에 XGT클라이언트를 선택한다.

    *P2P 기능 : READ => 내 PLC로 데이터를 읽어온다는 뜻.

                    WRITE => 상대방PLC로 데이터를 보낸다는 뜻.

    *기동조건 : 언제 데이터를 주고받을지 선택.

    *방식  : 연속 => "데이터타입"과 "데이터크기"를 정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

                        ex) 데이터타입 : 2BYTE, 데이터크기 : 1이면

                              BIT타입 = M00000~M0000F    WORD타입 = D00001.0~D00001.F

 

    데이터타입 : 2BYTE, 데이터크기 : 2이면

    BIT타입 = M00000~M0001F    WORD타입 = D00001.0~D00002.F

 

    데이터타입 : 1BYTE, 데이터크기 : 1이면

    BIT타입 = M00000~M00007    WORD타입 = D00001.0~D00001.7

 

    데이터타입 : 1BYTE, 데이터크기 : 2이면

    BIT타입 = M00000~M0000F    WORD타입 = D00001.0~D00001.F

               

                개별 => "데이터타입"과 "변수개수"를 정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

    ex) 데이터타입 : BIT, 변수개수 : 1이면

   BIT타입 = M00000, WORD타입 = D00001.0

 

    *상대국번 : 데이터를 주고받고자 하는 PLC의 국번

    *설정  : READ => 읽을영역 : 상대PLC에서 읽어올 데이터

   저장영역 : 내 PLC에 저장할 데이터

   WRITE => 읽을영역 : 상대방PLC로 보내고 싶은 데이터

    저장영역 : 상대방PLC에 저장하고싶은 데이터위치

 

8. 빨간색이 검은색으로 변하면 클라이언트 설정 완료.

 

 

 

 

'PLC > 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MI(XP-50)과 LS PLC(XBC-DN32H) 연결해보기  (0) 2017.11.22
Posted by 기화니뿌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