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장 Cnet, XGT-서버를 사용해서 설정하는 방법
사용PLC : 서버 -> XBC-DN32H
클라이언트 -> XBC-DN32H
1) 서버(응답자)측 설정법 : Main Program -> 데이터를 뿌려주는 역할로 생각

1. 왼쪽 프로젝트창의 NewPLC를 더블클릭하면 아래 사진과 같은 창이 뜨게된다.

2. 나는 채널2의 RS-485 방식으로 "통신속도"는 9600 baudrate로 선택했다.
이미지의 아래부분에 "동작모드"에는 선택한 채널의 동작방식을 선택한다.
XGT서버를 이용한 통신을 할거니까 XGT서버를 선택한다.
서버측 설정은 끝!
2) 클라이언트(요구자)측 설정법

1. 왼쪽 프로젝트창의 NewPLC를 더블클릭하면 아래 사진과 같은 창이 뜨게된다

2. 서버측의 "통신형태"와 동일한 것으로 선택하고 "통신속도" 또한 서버측의 통신속도와 동일하게 맞춘다.
국번은 서버측과 다른 번호로 설정해야 한다.
이미지 아래부분의 "동작모드"는 클라이언트이기 때문에 "P2P 사용"을 선택한다.

3. 기본설정이 끝나면 NewPLC를 마우스 오른쪽클릭한다.
항목추가 -> P2P통신을 선택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은 창이 뜨는데 확인을 눌러준다.


4. NewPLC 밑으로 새로운 항목들이 생기는데 P2P채널을 더블클릭 해준다.

5. "P2P 드라이버"에서 "XGT 클라이언트" 선택 후 확인을 누르면 위와같은 메시지창이 뜬다.
"예"를 클릭.

6. NewPLC 밑의 항목중 "P2P블록"을 더블클릭한다.

7. "NewPLC - P2P 01" 이라는 새로운 창이 뜨게된다.
*채널 : PLC의 통신모듈의 어떤 채널을 사용 할 것인지 선택한다. 내장통신모듈의 채널2 RS-485를 사용하기 때문에 채널 2 선택.
(P2P 01은 내장통신에 P2P 02는 첫번째 통신모듈에 P2P 03은 두번째 통신모듈에 고정되어 할당되어있습니다. 따라서 해당되는 슬롯번호
를 반드시 맞추어 사용해야만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설정드라이버 : 통신프로토콜을 선택한다. XGT서버를 사용하기 때문에 XGT클라이언트를 선택한다.
*P2P 기능 : READ => 내 PLC로 데이터를 읽어온다는 뜻.
WRITE => 상대방PLC로 데이터를 보낸다는 뜻.
*기동조건 : 언제 데이터를 주고받을지 선택.
*방식 : 연속 => "데이터타입"과 "데이터크기"를 정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
ex) 데이터타입 : 2BYTE, 데이터크기 : 1이면
BIT타입 = M00000~M0000F WORD타입 = D00001.0~D00001.F
데이터타입 : 2BYTE, 데이터크기 : 2이면
BIT타입 = M00000~M0001F WORD타입 = D00001.0~D00002.F
데이터타입 : 1BYTE, 데이터크기 : 1이면
BIT타입 = M00000~M00007 WORD타입 = D00001.0~D00001.7
데이터타입 : 1BYTE, 데이터크기 : 2이면
BIT타입 = M00000~M0000F WORD타입 = D00001.0~D00001.F
개별 => "데이터타입"과 "변수개수"를 정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
ex) 데이터타입 : BIT, 변수개수 : 1이면
BIT타입 = M00000, WORD타입 = D00001.0
*상대국번 : 데이터를 주고받고자 하는 PLC의 국번
*설정 : READ => 읽을영역 : 상대PLC에서 읽어올 데이터
저장영역 : 내 PLC에 저장할 데이터
WRITE => 읽을영역 : 상대방PLC로 보내고 싶은 데이터
저장영역 : 상대방PLC에 저장하고싶은 데이터위치
8. 빨간색이 검은색으로 변하면 클라이언트 설정 완료.


